본문 바로가기
생활지식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InfopediaBK 2023. 2. 22.
728x90

13월의 월급이라고도 하는 연말정산 환급금, 이제 서류 제출과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이 막바지에 다다랐습니다. 재직 중인 직장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으신 분들도 있을 거고 아직 기다리는 분들도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과 연말정산 환급금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1 - 예상세액 계산하기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간소화 자료 서비스에서 예상세액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간소화 메뉴 클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조회/발급 메뉴 - 연말정산간소화 메뉴를 클릭합니다.

연말정산 자료조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연말정산 자료조회를 먼저 해야 합니다.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고 아래 화면에서 예상세액 계산 버튼을 클릭합니다.

총 급여 및 기납부세액 수정

공제신고서를 작성하신 분은 아래 화면에서 공제신고서 불로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작성한 정보들이 불러와집니다.

총 급여 및 기납부세액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 창이 뜹니다. 아래 화면에서 총 급여와 기납부세액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을 수령하신 분이라면 그에 맞춰 입력해 주시면 되고 아닌 분은 급여명세서를 기준으로 대략적인 금액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점은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소득세 기납부세액만 입력하셔야 정확한 금액이 산출됩니다.

차감징수세액 확인

모두 입력 후 스크롤을 내려서 계산결과 상세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이 뜨고 그 화면에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차감징수세액이 '-'면 그만큼 돌려받는 것이고 '+'면 추가로 세금을 더 내야 합니다.

 

728x90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2 - 세금 모의 계산

사실 위의 방법만으로도 충분히 확인 가능하지만 저는 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이 정확한지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해서 이 방법으로도 계산을 진행해 봤습니다. 공제신고서를 불러오지 않고 원천징수영수증을 기준으로 하나하나 입력해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세금모의계산 버튼 클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세금종류별 서비스 메뉴에 세금모의계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 이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연말정산 자동계산 메뉴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근로소득과 기납부세액을 수정하는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 이후부터는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총 급여 및 기납부세액 수정

총 급여 및 기납부세액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 창이 뜹니다. 아래 화면에서 총 급여와 기납부세액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을 수령하신 분이라면 그에 맞춰 입력해 주시면 되고 아닌 분은 급여명세서를 기준으로 대략적인 금액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는 1번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 방법으로 계산하실 땐 직접 하나하나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차감징수세액 확인

모두 입력 후 스크롤을 내려서 계산결과 상세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이 뜨고 그 화면에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차감징수세액이 '-'면 그만큼 돌려받는 것이고 '+'면 추가로 세금을 더 내야 합니다.

 

결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 해동안 신경 써서 소비를 하신 분들은 꽤 많이 받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오히려 세금을 더 내야 하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 환급금을 적게 받거나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아쉬워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사실, 그만큼 절약해서 다른 곳에 더 의미 있게 쓰셨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13월의 월급이라고도 할 수 있는 연말정산 환급금, 올해 시작을 다들 기분 좋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