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블록체인 기술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자면,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탈 중앙화된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두 유형의 블록체인 간의 주요 차이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이란?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입니다. 컨센서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잘못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수의 노드들이 서로 검증 과정을 거쳐 적합한 블록을 생성합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역시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2023. 2. 3.
블록체인 (BlockChain), 이제는 알 때 됐다 최근 들어, 암호화폐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필요할 것 같아 공부할 겸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안전하고 투명한 기록 보관을 제공하는 탈 중앙화 시스템입니다.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기록에 대한 위변조 방지 및 영구적인 거래 기록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입니다. 탈중앙화 시스템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작동하는데, 이는 모든 기록이 정부와 같은 중앙 기관이 아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중앙 기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록을 관리하게 됨으로 탈 중앙화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설계가 가능한 이유는 모든.. 2023. 2. 2.
DevOps에 대한 이해 가끔 DevOps와 관련해서 얘기를 하다 보면 마치 개발과 운영을 모두 할 줄 아는, 혹은 진행하는 어떤 문화나 팀, 엔지니어를 의미한다고 알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DevOps는 개발 팀과 운영 팀 간의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관행 혹은 문화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DevOps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evOps란? DevOps는 개발 팀과 운영 팀 간의 협업, 커뮤니케이션 및 자동화를 강조하는 문화 및 관행입니다. 목표는 애플리케이션의 속도와 안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의 다운 타임을 줄이고 지속적인 품질 개선입니다. 즉, 궁극적으로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지.. 2023. 2. 1.
Serverless 컴퓨팅과 Function as a Service(FaaS) Serverless 컴퓨팅과 FaaS는 공급자가 인프라를 관리하고 고객은 사용된 리소스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입니다. FaaS를 통해 고객은 인프라를 관리하지 않고도 개별 기능을 실행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FaaS의 장점으로는 비용 효율성, 확장성 및 이벤트 기반 컴퓨팅을 위한 유연성이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많은 분들이 클라우드의 개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만큼 이 글에서는 Serverless 컴퓨팅과 FaaS의 개념과 장점에 대해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Serverless 컴퓨팅이란? Serverless 컴퓨팅은 공급자가 인프라를 관리하고 고객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클라우드 모델입니다. "Serverless"라는 용어를 보면 "서버.. 2023. 1. 31.
728x90